살이 찌는 것은 에너지 소비 없이 과식하는 것이 원인이다. 살이 찐 사람들은 포만감을 느끼는 신경 회로가 둔감한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다이어트 관련 약들은 뇌를 속여 포만감을 느끼게 해 음식 섭취를 줄이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최근 의학자들이 동물의 뇌 속에는 식사 중단을 명령하는 신경회로가 있다는 사실을 새로 발견했다. 해당 신경 회로를 자극하면 음식 섭취를 중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비만 치료법으로 개발될 가능성도 크다.
미국 컬럼비아대 의대 연구팀은 생쥐 실험에서 식사를 중단하도록 명령하는 특수한 뇌신경 세포와 회로를 발견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셀’ 2월 6일 자에 실렸다.
뇌 속 많은 섭식 회로는 음식 섭취를 감시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들 섭식 회로의 신경 세포가 식사를 중단하라고 명령을 내리지는 않는다.
연구팀은 뇌간에서 세포의 위치와 분자 구성을 구분할 수 있는 ‘공간 분해 분자 프로파일링’이라는 기술을 사용해 지금까지는 구분해 내지 못했던 다양한 유형의 세포를 식별해 냈다. 이를 통해 식욕 조절에 관여하는 다른 뉴런과 유사해 보이지만, 다른 특징을 가진 신경세포를 발견했다. 호흡과 혈압, 체온, 혈당을 조절하고 무의식적 반사운동에 관여하는 뇌간은 뇌에서 가장 오래된 부위로 5억년 이전부터 진화됐다. 파충류의 뇌를 닮았기 때문에 ‘파충류 뇌’라고도 불린다.
연구팀은 광(光)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이번에 발견한 뇌간의 신경세포가 식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봤다. 빛으로 이번에 발견된 뉴런을 활성화하면 생쥐는 평소 먹는 양보다 훨씬 적은 음식만 섭취하는 것이 확인됐다. 또 빛의 강도에 따라 식사 중단뿐만 아니라 식사 속도도 늦추는 것이 확인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뉴런은 최근 비만과 당뇨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GLP-1 호르몬에 의해 활성화된다. 생쥐에서 발견됐지만 모든 척추동물에서 본질적으로 같은 뇌의 일부분인 뇌간에 있는다는 사실을 미뤄 인간도 같은 뉴런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연구를 이끈 알렉산더 넥토우 수석연구원은 “이번에 발견된 뉴런은 포만감 조절에 관여하는 기존 뉴런들과 다르다”며 “기존에 발견된 뉴런들은 입에 넣은 음식이나 음식이 장을 채우고 있다는 것만 인식하는 수준이지만, 이번에 발견한 뉴런은 다양한 정보를 모두 통합해 식사 자체를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만큼 부작용 없는 새로운 비만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가 지역 대표 관광기념품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해마다 개최하는 ‘경북도 관광기념품 공모전’이 전시성·일회성 행사에 그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5일 도에 따르면 지난 해까지 연 1회씩, 모두 27회에 걸쳐 관광기념품 공모전을 개최했다. 매회 예산 수 천만원씩이 투입됐으며, 지난 해엔 6000만원이 들어갔다.
지금까지 해마다 대상·금상·은상·동상·장려상 등 총 20~30여점의 수상작을 선정해 시상했다. 총 500~600여점에 이른다. 경북의 고유한 역사·문화·전통 등의 특성을 지닌 관광기념품이 주류를 이룬다.
하지만 도는 관광기념품 read more 공모전 수상작의 관광상품 개발·생산 자금 지원이나 판촉은 ‘나 몰라라’하고 있다. 다만, 수상 작품집 제작과 연간 1회 정도 문화산업박람회 참가를 지원하는 정도다. 때문에 수상작 대부분이 사장(死藏)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경기도, 부산시, 경남도 등 다른 시도와 사뭇 다른 분위기다. 경남도의 경우 관광기념품 공모전 수상작의 관광기념품점 온라인 판매 채널 및 오프라인 매장 입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마케팅, 홍보물 제작 등을 적극 지원한다.
도는 올해 설에도 관광기념품 특별 할인행사를 한다. 창원컨벤션센터에 1층에 있는 경남관광기념품점에서 오는 27일까지 기념품공모전 수상작을 비롯해 건강식품, 생활용품, 공예품, 패션잡화 등 18개 시·군 관광상품 전 품목을 10% 할인 판매한다. 3만원 이상 구매하는 고객 800명에게 스마트폰 터치 장갑, 여행용 대용량 폴딩백, 고속 충전케이블을 선착순 증정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공모전 초기만 해도 수상작에 대한 각종 지원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면서 “갈수록 예산이 줄면서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정도라 아쉽다”고 했다.
김성은 경북대 관광학과 학과장은 “대부분의 지자체 관광기념품 공모전이 공모전 자체를 홍보하거나 수상작 시상에 예산이 집중된 나머지 정작 수상작의 상품화와 유통·마케팅은 뒷전으로 나고 있다. 이는 공모전이 1회성 행사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라면서 “지자체들이 우수 관광기념품 발굴도 중요하지만 이를 소비자까지 전달될 수 통로 확보에 더 많은 노력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